추정량의 비교 1
랜덤 표본이 $X_1,…,X_n \sim F_{\theta}, \theta \in \Omega$의 형태로, 즉 모집단의 분포가 모수 $\theta$로 표현될 수 있는 모형에 대해서 모수에 대한 함수로 표현될 수 있는 $\eta = \eta(\theta)$의 추정량에 대한 비교를 다...
랜덤 표본이 $X_1,…,X_n \sim F_{\theta}, \theta \in \Omega$의 형태로, 즉 모집단의 분포가 모수 $\theta$로 표현될 수 있는 모형에 대해서 모수에 대한 함수로 표현될 수 있는 $\eta = \eta(\theta)$의 추정량에 대한 비교를 다...
모집단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의 최대 가능도비 검정과, 이변량 정규분포에서 상관계수에 대한 최대 가능도비 검정을 유도해 볼 것이다.
최대가능도비 검정(LRT)은 주어진 데이터가 두 개의 경쟁 가설 중 어느 쪽을 더 지지하는지를 가능도비를 통해 판단하는 가설 검정 방법이다.
부가정보(side information)을 활용한 p-value 기반의 다중 검정모델인 AdaPT와 IHW를 다뤄볼 예정이다.
루딘의 PMA 2단원을 정리한 내용이다. 열린집합과 닫힌 집합, 컴팩트 집합, 연결집합을 소개하고, 유클리드 공간을 넘어 일반적인 거리공간의 성질을 간략히 다룬다.